728x90
목차
Dockerfile로 이미지에 필요한 커맨드 설치 및 필요한 디렉토리 생성하기
```Dockerfile
FROM nvcr.io/nvidia/tritonserver:24.07-py3
RUN apt-get update && apt-get install net-tools
RUN mkdir -p /logs
RUN mkdir -p /models
```
터미널에서 Dockerfile이 있는 위치로 이동하기
cd /${도커파일경로}
현재 위치의 Dockerfile 빌드하기
docker build --tag tritonserver:24.07-py3 .
넥서스 도커서버에 로그인하기
docker login http://${넥서스IP}:${넥서스PORT}
넥서스 도커서버에 push하기
# 구성
docker tag ${이미지ID} ${넥서스IP}:${넥서스Port}/triton/tritonserver:24.07-py3
docker push ${넥서스IP}:${넥서스Port}/triton/tritonserver:24.07-py3
# 예시
docker tag 17e685bd4759 10.10.50.123:5000/triton/tritonserver:24.07-py3
docker push 10.10.50.123:5000/triton/tritonserver:24.07-py3
728x90
'최근 포스팅 TOP10'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머신러닝] 쿠버네티스 트리톤 서버에서 onnx API 호출 시 413 Request Entity Too Large 이슈 해결하기 (0) | 2024.10.02 |
---|---|
[머신러닝] 쿠버네티스에서 pytorch 모델 Triton서버를 활용해서 서빙하기(model.pt) (0) | 2024.10.02 |
[머신러닝] 쿠버네티스에서 TensorFlow 모델 Triton 서버를 활용해서 서빙하기(saved_model) (3) | 2024.09.23 |
[리눅스] CentOS7 yum 커맨드 사용 에러 (3) | 2024.09.23 |
[쿠버네티스] rook-ceph 에러 트러블 슈팅 과정 (0) | 2024.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