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이번 포스팅은 최근에 .jspf 확장자를 가진 파일을 접해봐서 사용하면서 겪은 경험에대해 공유하고자 합니다.
우선 jspf란 웹사이트에서 자주 사용하는 메뉴바 같이 거의 모든 페이지에 필수로 있는 경우에 보통 사용됩니다.
이때 주의할 점이 jspf는 처음 로컬로 톰캣 구동시 한 번 컴파일되기 때문에 jspf 파일을 수정했거나 심지어 DB내용을 변경을 했더라도 로컬호스트로 접근해서 변경된 내용을 UI로 확인하려면 톰캣을 재구동 시켜야합니다.
아직 jspf 파일에대해 정확한 정보를 알고 있지 못해서 위에내용을 정정합니다.
지금까지 알고 있는 정보는 jspf 파일을 수정했을 때 톰캣 재기동을 시키지 않아도 됩니다. 하지만 DB 데이터를 변경했을 경우에는 톰캣 재기동을 시켜야합니다. 이 이유에 대해선 좀 더 공부한 후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이걸 몰라서 몇시간 째 해맸었네요.. 현재는 jspf에대해 자세히 알고 있지는 않지만 추후 더 공부해서 알게된 사실도 포스팅 하겠습니다.
여기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모르셨던 분들은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728x90
'Language > Front E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AUI 그리드 ] AUI Grid 기본 사용법(에이유아이소프트) (0) | 2020.08.04 |
---|---|
JavaScript ] var, let, const 변수선언 차이점 (0) | 2020.07.16 |
Javascript ] 페이지 이동 시 함수 바로 실행하기 #function #ready (0) | 2019.11.22 |
Javascript ] 문자열 포함여부 구분하기 #indexOf #includes (2) | 2019.11.15 |
(input type file) 파일이미지 유효성검사하기 예제(validation Check) (4) | 2019.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