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nkins를 아직 설치하지 않았다면 Jenkins 1탄(https://jfbta.tistory.com/223) 포스팅을 보고 설치하자
1. Jenkins 1탄에서 설치까지 정상적으로 완료하였다면 Jenkins 관리로 접근한다.
2. Global Tool Configuration을 클릭한다.
3. JDK와 Git을 입력한 후 Save 버튼을 클릭한다.
4. 새로운 Item을 클릭한다.
5. item 이름을 정한 후 Freestyle project를 선택하고 OK 버튼을 클릭한다.
6. 소스 코드 관리 > Git 옵션을 선택하면 Repositories URL을 입력하는 텍스트창이 있는데 여기에 원격지에 git 저장소 정보를 입력한다.
7. 여기서부터가 중요한데 'Failed to connect to repository' 오류가 발생할 것이다. 이유는 github나 gitLab은 public과 Private을 설정 할 수 있는데 별도로 설치한 기본 git에서는 설정하는 방법을 찾지 못했다.
그렇기 때문에 URL을 입력할 때 ID/PW를 입력해서 접근해야 '연결실패'가 발생하지 않는다.
Repository URL 형식 : http://[ID]:[PW]@[IP]:[30000]/[원격Git경로]
Repository URL 형식 예시 : http://userid:userpw@123.123.123.123:22/src/main/local/project
(*Repository URL에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넘겨줬기 때문에 Credentials는 none으로 해도 된다.)
8. 저장 버튼을 클릭한다.
9. Build Now를 클릭한 후 드롭다운 버튼을 클릭하고 Console Output을 클릭한다.
10. SUCCESS가 표시되면 정상적으로 연동이 끝난 것이다.
'DevOps > Jenki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Jenkins 3탄] 젠킨스 nodeJS 설치 후 패킹 전 build 하는 법 (0) | 2023.03.30 |
---|---|
Jenkins ] 젠킨스 플러그인 설치 방법 (0) | 2023.03.29 |
Jenkins 1탄] 리눅스 Java 설치부터 Jenkins(원하는 버전) 설치까지 (0) | 2023.03.29 |
Jenkins 0탄 ] 서로 다른 서버에서 ssh 젠킨스 환경 세팅 목록 공유 (0) | 2023.03.28 |
Jenkins Error ] cannot verify pkg.jenkins.io's certificate (0) | 2023.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