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Jenkins를 독립된 서버에서 사용하게 되면 하나만 설치하면 되기 때문에 편리하고 관리하기 쉬운 장점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하나의 서버에 Git, Project, Jenkins가 설치되어 있는 게 아닌 다 각각의 독립된 서버에서 설정하는 법에 대해 공유하는 글을 작성할 것이다.

 

이번 포스팅은 Jenkins를 사용하기 위해 작업해야할 과정이 무엇인지에 대해 정리하겠다.


Server 구성

 

※ Jenkins 환경세팅 리스트

 1) jenkins 사용 목적으로 쓰일 linux server에 jenkins를 설치한다. (https://jfbta.tistory.com/223)
 2) git 연동 후 build 테스트 '/var/lib/jenkins/workspace/프로젝트명' 파일 존재 확인 (https://jfbta.tistory.com/225)
 if(webpack인 경우) 2) jenkins nodejs plugin 설치 후 execute shell 작성
 3) jar파일 service 등록
 4) build로 생성된 jar파일 ssh로 프로젝트 배포 경로에 옮긴 후 service restart
 5) git서버에서 hooks연동

728x9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