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저번 포스팅에서 깃을 사용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했었습니다. 못 보신 분들을 위해 요약했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프로젝트를 2명 이상의 개발자가 서로 공유하기 때문에 협업하는데 용이

2. 히스토리를 이용해 과거의 올렸던 코드를 확인

3. 백업이 되어있어 내 하드디스크를 날려도 프로젝트 복구 가능


이런 장점을 가진 깃을 사용하려면 준비해야 할 것이 2가지가 있는데, 첫 번째는 깃을 설치해야 하고 두 번째는 깃허브 계정 하나가 필요합니다.

각각 준비하는 데 필요한 설명을 다뤘던 포스팅 주소입니다.

1. 깃 설치 URL : https://jfbta.tistory.com/4

 

깃(Git)을 사용하는 이유와 설치방법

깃(Git)이란 무엇일까? 제가 처음에 깃을 사용했을 땐 그저 나의 소스를 공유하고 협업을 하는 용도로 쓰기 위해서였습니다. 이후에 알게 된 건 깃은 내가 작업한 프로젝트를 올릴 때마다 히스토리가 쌓인다는 것..

jfbta.tistory.com

2. 깃 회원가입 URL : https://jfbta.tistory.com/5

 

깃(Git) 회원가입 AND 깃(Git) 계정만들기 AND 깃(Git) 계정 생성

깃의 사용법을 알기 전에 먼저 준비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첫 번째는 깃 설치(https://jfbta.tistory.com/4) 두 번째는 회원가입입니다. 갑자기 옛날 생각나네요.. 대학생 때 프로젝트를 처음으로 만들다 깃을 접..

jfbta.tistory.com

 


 

설명이 길었습니다. 이제 본론으로 돌아가자면 먼저 깃허브사이트에 접속해서 로그인을 해줍니다.

 - 깃 사이트 : https://github.com/

 

Build software better, together

GitHub is where people build software. More than 40 million people use GitHub to discover, fork, and contribute to over 100 million projects.

github.com

 

로그인하면 위 페이지가 나옵니다. 여기서 왼쪽 상단에 Create a repository를 누릅니다.

 

레포지토리를 생성하기 위해서 몇 가지 입력을 해야 합니다.

1번은 레포지토리 이름( 폴더 이름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

2번은 Public(공개)로 할 것인지 Private(비공개)로 할 것인지 선택합니다.

 

2번까지의 과정을 마쳤으면 3번 버튼을 클릭합니다.

 

레포지토리가 생성되었습니다. 초록색 박스에 있는 주소는 깃과 연동할 때 쓰일 것이니 잘 기억해야 합니다.

 

 

이제 Web상의 Git과 연결될 폴더를 생성해줍니다.

 

깃과 연결하기 위해 생성된 폴더를 우클릭 후 Git Bash Here를 클릭합니다.

 

여기서 Permission denied가 뜨기 때문에 경로를 Program Files에서 빼줬습니다.

 

git init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init은 initialized의 줄임말인데 뜻은 초기화입니다.(깃 폴더로 지정하는 명령어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후 다시 git init을 입력하니 이상 없이 잘 지정되었군요.

 

 - git remote add origin 레포지토리 주소

이 명령어는 우리가 생성했던 레포지토리 주소를 지정해주는 명령어입니다.

 

여기까지 했으면 로컬과 깃의 연동이 끝났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 연동된 깃에 예제파일을 올리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728x9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