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 포스팅에서 깃을 사용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했었습니다. 못 보신 분들을 위해 요약했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프로젝트를 2명 이상의 개발자가 서로 공유하기 때문에 협업하는데 용이
2. 히스토리를 이용해 과거의 올렸던 코드를 확인
3. 백업이 되어있어 내 하드디스크를 날려도 프로젝트 복구 가능
이런 장점을 가진 깃을 사용하려면 준비해야 할 것이 2가지가 있는데, 첫 번째는 깃을 설치해야 하고 두 번째는 깃허브 계정 하나가 필요합니다.
각각 준비하는 데 필요한 설명을 다뤘던 포스팅 주소입니다.
1. 깃 설치 URL : https://jfbta.tistory.com/4
2. 깃 회원가입 URL : https://jfbta.tistory.com/5
설명이 길었습니다. 이제 본론으로 돌아가자면 먼저 깃허브사이트에 접속해서 로그인을 해줍니다.
- 깃 사이트 : https://github.com/
로그인하면 위 페이지가 나옵니다. 여기서 왼쪽 상단에 Create a repository를 누릅니다.
레포지토리를 생성하기 위해서 몇 가지 입력을 해야 합니다.
1번은 레포지토리 이름( 폴더 이름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
2번은 Public(공개)로 할 것인지 Private(비공개)로 할 것인지 선택합니다.
2번까지의 과정을 마쳤으면 3번 버튼을 클릭합니다.
레포지토리가 생성되었습니다. 초록색 박스에 있는 주소는 깃과 연동할 때 쓰일 것이니 잘 기억해야 합니다.
이제 Web상의 Git과 연결될 폴더를 생성해줍니다.
깃과 연결하기 위해 생성된 폴더를 우클릭 후 Git Bash Here를 클릭합니다.
git init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init은 initialized의 줄임말인데 뜻은 초기화입니다.(깃 폴더로 지정하는 명령어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후 다시 git init을 입력하니 이상 없이 잘 지정되었군요.
- git remote add origin 레포지토리 주소
이 명령어는 우리가 생성했던 레포지토리 주소를 지정해주는 명령어입니다.
여기까지 했으면 로컬과 깃의 연동이 끝났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 연동된 깃에 예제파일을 올리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Version Control System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Tool(깃 툴)] Git GUI 유틸리티인 소스트리(Sourcetree) 설치방법 (0) | 2019.08.28 |
---|---|
깃(Git) 사용법 ] Git의 코드비교 및 오픈 레포지토리 파일 다운받기 (0) | 2019.08.19 |
깃(Git) 사용법 ] Github와 연동된 계정에 파일 업로드 및 다운로드 (0) | 2019.08.18 |
깃(Git) 회원가입 AND 깃(Git) 계정만들기 AND 깃(Git) 계정 생성 (0) | 2019.08.14 |
깃(Git)을 사용하는 이유와 설치방법 (0) | 2019.08.12 |